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진, 영상 속 빛 공부] 빛의 각도에 따른 변화, 순광/측광/역광/정측광/사광/후측광/반사광 용어 정리

by 오늘leo 2023. 2. 24.
728x90
반응형
반응형

 

[사진, 영상 속 빛 공부]

빛의 각도에 따른 변화

순광/측광/역광/정측광/사광/후측광/반사광 용어 정리

 

 

 


 

1. 특정 피사체를 찍으려 한다는 가정하에

피사체 기준으로, 그리고 관찰자 시점 기준으로 다양한 빛이 있다

2. 조명을 칠 때, 해를 카피한다는 느낌으로 설치한다

3. 빛은 우리가 인지 할 수 있는 부분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공존한다

4. 빛을 만들어내는 발광면에 가까울수록 밝고 멀어질 수록 빛입자가 퍼져나가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어두워진다

= 빛은 발광면과 멀어지면 어두워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1) 정면에서 들어오는 빛, 순광

- 정확하게 빛이 정면에서 관통한다

- 장점 : 피사체의 가장 표준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 그림자의 영역이 거의 보이지 않아 진한 색감을 전달할 수 있다

 

2) 측면에서 들어오는 빛, 측광

- 측면에서도 위쪽에서 빛이 들어온다고 생각하면 된다(like 해처럼)

- 장점 : 입체감을 나타내기 좋다

- 그림자의 영역과 빛을 받는 영역의 구분이 잘 된다

- 영화에서, 얼굴 입체감을 살리기 위해 눈 아래 삼각형 빛을 만드는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측광을 딱 90도로 설치>

- 완전한 측면(90도)에서 들어오는 빛은 자연에서 존재하기 어렵다

그래서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에 많이 어색할 것이다

 

3) 뒤에서 들어오는 빛, 역광

- 빛이 뒤에서 들어온다

- 장점 : 피사체가 가장 예뻐 보일 수 있다

- 피사체에게 아웃라인이 생긴다

- 제일 어려운 구도

- 피사체 기준 바닥 컬러와 반사율을 고려한다면

피사체에서 예쁜 필라이트(보조광)이 생긴다

 

4) 빛이 반사되어 보이는 빛, 반사광

- 해가 창문을 통해 들어올 때 햇빛에 있는 부분만 밝은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방이 밝고 휜해보이는 효과.. 바로 반사광 때문이다

- 빛이 피사체의 표면에 묻게 되면 피사체의 재질감과 빛의 각도 등으로

여기저기 반사를 하게 된다

 

 

그외 정측광(사광), 후측광, 반사광, 보조광(필라이트), 환경광(엠비언트 라이트), 자연광, 인공광

키필백 라이트(키라이트/필라이트/백라이트), 간접광, 직접광, 투사광, 지속광, 순간광(플래시)

 

5) 재질이 유리일 경우, 직접 광에 의해 빛이 투사한 빛, 투사광

- 다른 그림자는 다 어두운데, 유리로 된 컵, 잔들에서만 빛이 투사되어

모아지기도 하고 여러 갈래로 나뉘기도 한다

- 특정 패턴 없이 재질의 곡률 등에 따라 빛이 모아지기도 하고 분산되기도 해서 의도적으로 연출하기도 한다

 

 

 


 

 

<낮과 밤 인상의 포인트 / 시간대, 날씨>

낮 : 해 중심, 하나

밤 :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광 중심, 여러가지 조그마한 빛들이 모여서 발광체, 인공광들이 빛을 발휘한다

 

첫 번째, 빛의 분산강도(디퓨징)

쨍한 빛이 들어오는 경우 - 낮

쨍한 빛이 없는 경우, 부드러운 빛 - 밤, 새벽

 

두 번째, 색온도

푸른색일수록 - 새벽, 밤

붉은색일수록 - 해가 뜰 때나, 한창 석양이 있을 때

 

*색온도 : 그 값이 낮을 수록 노란 빛을 띄고 높을 수록 푸른 빛을 띈다

캘빈값(k)이라고 하고, 천단위로 쓴다

2800k-3200k :  카페 조명 같은 노란 느낌 -> 노란 빛을 하얗게 하기 위해 푸른색으로 보정

4400k : 백색형광등

4800k-6500k : 낮의 해 색온도 -> 푸른 빛을 하얗게 하기 위해 노란빛으로 보정

 

다양한 빛의 컬러를 온전한 화이트 컬러에 맞추기 위해

카메라 자체의 색온도를 조절하여

찍고 있는 화면의 색온도를 화이트로 보정한다

정확한 색온도를 맞춰서 정식적으로 흰색 색도를 찍는 게 룰이었는데

현재는 일부러 안 맞게 찍는 것이 유행이고

감성으로 포함되어 일부러 노랗게 찍거나 일부러 푸르게 찍는 경우도 많아졌다

 

*필름 사진처럼 촬영하고 싶다면

어떠한 환경에서도 5800k로 고정하고 촬영하면 더 필름카메라 느낌이 날 것이다

왜냐하면 필름이 5500k-5800k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노출값

어둡게 찍을 수록 - 새벽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