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GX #인싸담당자 #0823 #1일차 #강점분석 #태니지먼트

나는 지금 잘 맞는 일을 하고 있나?
내가 가고자 하는 일이 나랑 잘 맞는 일인가?





위의 방식이 아니라 반대가 되어야 한다

Six Logical Levels
상위 단계가 바뀌면 하위 단계가 바뀐다!!!!!

WHO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만족하고 잘 할 수 있지?
WHAT 그럼 나는 어떤 직업을 해야 할까?


HOW 그럼 이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은 뭐지?
WHAT 지금 내가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일은...

WHERE 내가 기대하는 삶의 환경을 만들어 간다


지금까지 준비한 게 아무것도 없어요ㅠㅠㅠ

"인생의 진정한 비극은, 우리가 충분한 강점을 가지지 못한 것에 있지 않다.
오히려 가지고 있는 강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데 있다."
- 벤자민 프랭클린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 둘 중에 무엇을 하는 게 좋을까?

5년 전,
나의 장래 희망은 출근하는 것이었다.
지금,
나의 장래 희망은 출근을 안 하는 것이다


우리는 가끔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하나요? 아니면 잘하는 일을 해야 하나요?
라고 이야기하곤 합니다 하지만 질문이 잘못되면 잘못된 답을 찾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좋아하는 일 or 잘하는 일 둘 중에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 어떻게 하면 좋아하면서, 잘하는 일을 찾을 수 있나요? " 라고 생각해야 한다


진짜 중요한,,
좋아하는 일이란?
NOT 단순히 편안한 일
NOT 취미로 할 수 있는 일
NOT 흥미로운 일
BUT 소망(WISH) 있다고 느끼는 좋아함
-> 나에게 의미 있는 일인가?
잘하는 일이란?
NOT 경험이 많아 부담이 없는 일
NOT 스킬 훈련이 잘 된 일
NOT 지식을 많이 쌓은 일
BUT 빠르게 학습되는 잘하는 일
-> 경험이 있는 일인가?

<커리어의 2요소>
강점이 없으면 지속할 수 없고, 의미가 없으면 열정이 안 생긴다
강점은 곧 직무, 전문성
의미는 곧 산업군
그렇다면 교집합을 찾는 방법은?

<나의 강점을 인식하는 방법>
프레임을 가지고 접근


우리가 칭찬을 받을 때
그리고 답답했던 경험을 다시 생각해보기

<24가지 재능>
- 사고 (인식, 발산)
단순화 : 단순하게 정리하고 싶다
논리 : 논리적인 근거를 찾고 싶다
회고 : 과거를 돌아보고 싶다
비교 : 비교하고 싶다
문제발견 : 문제를 발견하고 싶다
고찰 : 깊이 생각하고 싶다
미래예측 : 미래를 예측하고 싶다
창의 : 새롭게 생각하고 싶다
전략 :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싶다
- 감정(관계)
공감 : 공감하고 싶다
사교 : 넓게 사귀고 싶다
양성 : 양성하고 싶다
주도 : 이끌어 가고 싶다
중재 : 중재하고 싶다
친밀 : 깊게 사귀고 싶다
표현 : 표현하고 싶다
- 행동 패턴
계획 : 계획을 세우고 싶다
달성 : 달성하고 싶다
몰입 : 몰입하고 싶다
신중 : 신중하게 하고 싶다
완벽 : 완벽하게 하고 싶다
유연 : 유연하게 대응하고 싶다
정보수집 : 정보를 수집하고 싶다
행동 : 빠르게 행동하고 싶다

<재능과 강점의 차이점>
Being : 개인의 기질, 특징
Doing : 개발되어 역량으로 나타나는 것

< 진짜 강점의 특징>
1.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
2. 만족감이나 몰입감을 동반하는 것
3. 학습속도가 빠르게 나타나는 것
4. 여기에 지식, 스킬, 경험 쌓은 것
'취업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법칙 - 영화/영상 기본 단위(샷, 씬, 시퀀스, 막) 정리 [영상 공부] (0) | 2021.09.20 |
---|---|
[취업 핵심 역량 설명] 신뢰 - 긍정성 / 적극성 (디자인, 연구/개발, 엔지니어, 영업/마케팅) (0) | 2021.08.26 |
[면접 준비] 1분 자기소개 정리 (인싸담당자 편) (0) | 2021.02.18 |
[자소서 키워드 뽀개기] 내 성향을 어떻게 알고, 자소서에 녹일 수 있을까? - 자소서 예시 포함/ 강점 살리기 방법 (0) | 2021.02.08 |
[강점 자소서] 자소서에 성향을 왜 넣어야 하는 이유, 성향이 특별하게 더 중요한 대상 (온라인GX 6일차 죠스플라잇-1) (0) | 2021.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