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금융/생활 청년정책 추천]
알아야 혜택 받을 수 있다, 20-30 청년 정책 모음집 (서울 편)
일자리 정책
청년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청년구직자 대상으로 신기술 실무역량 교육을 제공하고 전방위적 취창업 연계지원을 추진합니다
실전형 교육과정 지원 및 취창업 연계(취창업상담, 기업매칭 등)
2. 서울형 뉴딜 일자리
미취업자들에게 전문적인 일 경험 제공과 직무교육 및 취·창업 지원을 통해 안정적 민간일자리로 연계 도모
월 최대 임금 236만원 지급( 서울형 생활임금 시급 : 10,770원)
최대 23개월간 안정적으로 근무가능(풀타임/파트타임 선택가능) 일하는 동안 관련 경력을 쌓아 민간일자리 취업(2020년 참여자 취업률 56.6%) 최대 130시간 취업교육, 자격증 응시비용 지원
3. 청년인턴 직무캠프
청년구직자의 직무경험지원과 기업채용 활성화를 위해 「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사업 추진, 3~4개월간 전문 직무교육 후 중견기업, 글로벌기업, 스타트업 등에서의 인턴 경력 지원 정책
- 인턴 : 직무훈련(3~4개월) + 인턴십 제공(3개월), 취업알선
- 인턴급여 : 주 40시간 내, 매월 약 250만원(서울형생활임금, 3개월) 지급
4. 미래 청년 일자리(청년일자리 1,000개의 꿈 개편)
코로나19 충격으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청년을 대상으로 미래 일자리·일거리 발굴이 가능한 분야의 직무역량 강화 및 일경험 지원
코로나19 충격으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청년을 대상으로 미래 일자리·일거리 발굴이 가능한 분야의 직무역량 강화 및 일경험 지원
- 4개분야 (온라인콘텐츠/제로웨이스트/바이오헬스/소셜벤처)
- 190여개 기업, 청년 500여명
5. 서울시 일자리카페 운영
취업 준비 청년에게 일자리정보와 취업상담, 특강, 멘토링 등 취업 역량강화 프로그램과 스터디 룸 대여, 이력서용 사진 촬영 등 취업 준비 종합 서비스 제공
- 일자리카페 취업지원프로그램 상시 운영 (1:1취업상담, 현직자멘토링, 주제별 취업특강, AI면접준비, 이력서사진촬영)
- 청년취업지원서비스 인프라 확대 위한 일자리카페 신규 조성
취업 준비 정책
청년실업률 증가와 취업준비 기간 장기화로 구직과정에서 과중한 경제적 부담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면접정장 무료대여 취업날개서비스 추진
마이스윗인터뷰(신촌,사당) / 열린옷장(건대입구) / 체인지레이디(왕십리,강남) / 슈트갤러리(논현,충정로) / 야베스컬렉션(이수) / 스타일딜리셔스(청담) / 드림윙즈(홍대) 열 곳에서 대여가 가능.
2. 청년인생설계학교
인생전환기에 놓인 청년들의 자존감을 향상하고 인적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주체적인 진로 탐색과 인생 경로 설정을 지원합니다. 근본적인 자기 확신과 인생 설계를 위한 기회의 장 마련, 구체적 진로 설정과 일-삶 양립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3.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거주 실업, 미취업 청년의 구직활동 및 생활안정 지원을 위해 사회참여 기회 제공 및 역량 강화, 소득보전 지원 위한 청년 안전망으로써의 청년활동지원정책
(금 전) 매월 50만원 × 최대6개월간 지급
(비금전) 맞춤형 청년 프로그램 연계 및 정보제공 등
코로나19로 면접이 어려운 기업과 구직자에게 독립된 공간과 서비스 지원
화상면접 장소제공(독립공간, 컴퓨터, 화상카메라, 헤드셋 일체)
금융 정책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만19~24세)의 교통비 부담 완화 및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중교통비 지원 추진
교통비 사용금액의 20%를 교통마일리지로 환급(인당 연간 10만원 한도)
2. 서울 영테크
청년에게 재무 상담 및 교육 제공
3. 청년희망키움통장
일하는 생계급여 수급 청년 (만15세~39세) 본인의 매월 소득에 비례하여 일정비율 금액 지원
4. 청년저축계좌
일하는 주거·교육급여 수급 / 차상위 청년 (만15세~39세) 본인의 매월 저축액의 1:3 매칭금 지원
생활 지원 정책
타·시도에서 서울로 전입한 청년에게 필요한 정책·정보안내 책자가 담긴 웰컴박스 제공
혼자 사는 청년들의 고립감 해소 및 동네 적응력 제고를 통한 서울 1인 가구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
- 웰컴박스 제공(서울청년정책·생활 안내 책자, 1인가구 생활물품)
- 웰컴박스 제공을 매개로 지역별 청년 1인가구 커뮤니티 형성 지원
‐고립(구직단념청년, 자립준비청년, 청소년쉼터입퇴소청년, 지역고립청년)·은둔 청년에 대한 지역별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사회적 취약계층 청년의 사회 진입 및 접촉을 촉진해 지역사회의 사회적·경제적 활력 확산
1,000명 내외 고립·은둔 청년 발굴 및 개인상담 지원,
진로탐색, 취업역량강화 지원,
사회관계망 및 청년-가족 자조모임, 취미·체험 프로그램 지원,
의사소통 방법 등 사회적 적응 훈련 교육 등 지원
예방적 차원에서의 청년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일대일 맞춤형 심층상담 지원
일대일 맞춤형 심층상담 지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