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유튜브 강의 필기] 취준 유튜브 <인싸담당자 1월 온라인 GX 1일 차 OT> 후기
PPT속 내용 / 필기 내용 / 중요한 내용 / 나의 이야기& 내 생각
안녕하세요
취준생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다시 티스토리에 찾아왔는데요~
이번에 취업과 관련된 유튜브 중에 가장 유명한 <인싸담당자> 님의 1월 온라인 GX가 시작됐기 때문이에요!
저도 이번에 제대로 취업준비를 시작하기로 했는데요~! 저와 같이 GX를 들으시는 분이 6000명이 넘으시더라고요!
강의를 들으면서 강의 필기를 작성해도 된다고 하셔서 매일 강의를 들으며 작성하려고 합니다!
9번의 강의 매일 정리해서 올리자고 저만의 약속을 했답니다! 그럼 1일 차 필기! 시작!
2020.01.21 목 9-10.4PM <인싸담당자 1월 온라인 GX 1일 차> 강의 필기
< 강의 첫 시작 >
Q. 여러분은 온라인 GX에 어떤 기대를 하고 왔나요?
A. 인턴/신입 지원하기도 전에 불안한 마음들을 GX 통해 해소하기 위해
아직은 내가 나를 모른다고 생각하고 준비가 안되어 있다고 생각이 들어
지금보다는 조금 더 준비된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Q. 이 강의를 들으면 취업을 할 수 있을까요?
A. 놉,,,
억지로 억지로,,,, 우리의 상당히 중요한 포인트!
사회/조직/회사라는 공간은 그냥 이런 억지스러운 사람을 뽑길 원한다?!
어떠한 조직이라도 정말 제대로 핏한 사람은 없다.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와 희생으로 이루어진 것이 회사
우리는 회사에 맞추는 사람이 되고자 하고,
맞추려고 노력하는 사람의 모습을 보고 채용을 한다.
꼭 맞는 회사를 찾을 거다? NO! 꼭 맞는 회사는 없다.
이걸 들으면 자소서 합격률/취업 합격률이 엄청 오를까??
자소서 합격률의 변화 약 2배 정도는
10% -> 20% 정도는!
나의 히스토리 + 주장
솔직히 이야기해서 우리들의 자소서의 합격률은 이력에 더 많은 합격점을 가지고 있다.
내 경험을 가지고 자소서를 쓰기 때문에
Potential 10% 와 Potential 20% 차이 EX. 경험의 양과 질의 차이
따라서 이 강의는 자소서 합격률을 높여주는 것이 아니라
자소서 작성 속도와최종 합격률을 올려줄 것이다!
서류 30개 -> 100개
인적성 6개 -> 20개
1차 면접 2개 -> 10개
최종면접 1개 -> 5~7개
앞으로 2021년 제대로 취업 준비하기 위해서
서류 100개는 쓴다는 마음가짐으로 시작!
"채용의 원리"
과거로 미래를 예측한다.
내가 가지고 있는 Potential을 100% 끌어오기
내 경험을 다 분해하고 분해한 것 중에 최적을 가져온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100% 다 쓸 수 있도록 노력!
과거는 바꿀 수 없다.
하지만 현재를 바꾸면 과거를 바꿀 수 있다.
지금 무엇을 하고 있냐, 미래의 나에게 미안해하지 않기 위해서
지금 나의 모습은 과거의 나의 결정들, 했던 것들의 산물
지금 무엇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경험으로 포텐셜을 높이자!
어떤 새로운 경험을 해야 할지 잘 모르겠지만 한번 찾아봐야지
밤 9시에 온라인 라이브 강의를 하는 이유
-> 오전 시간에는 뭘 해라 = 나의 새로운 경험으로 채워나가는 것 ex. 직무 경험
그러면 내가 할 말이 생긴다.
즉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그 일을 하자!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고민해봐야겠다.
-> 오후 시간에는 스터디를 하고 공부를 해라
-> 밤 시간에 GX 온라인 강의를 듣자
< 오늘의 숙제 >
내가 내일 아침부터 무엇을 할 수 있지 고민해보기!
-> 기자단 신청 ( 인턴 지원 X )
-> 인턴 지원할 때 필요한 포트폴리오 재작성
-> 직무 분석
-> 경험 분해
무기력에서 갑자기 또 달리려고 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1~2월 준비해보자! 빨리 인턴 지원해야 해,, 등등
불안해하거나 조급해하지 말고 일단 중심부터 찾고,
나만의 이야기를 준비해서 지원하자:)
<자소서 합격률 높이기>
내가 쓰고 있는 패턴부터 바꿔야 한다.
Q. 다음 다섯 순서 중에 잘못된 것은?
1) 채용 공고 확인
2) 입사 지원서 문항 확인
3) 문항별 어떤 경험을 쓸 것인가?
4) 회사 홈페이지 방문
5) 합격 자소서 묵상 / 동영상 강의
A. 3) 문항별 어떤 경험을 쓸 것인가?
자소서를 읽는 사람들이 궁금한 것은 단순한 경험이 아니라
경험 속에서 보여지는 역량이다 By Jacob
별 볼일 없는 경험 속에서도 역량을 끄집어낼 수 있다.
인턴 했는지는 이력서에서 평가하고
인턴을 하면서 어떤 행동을 했는지는 자소서에서 평가한다.
이제부터는 나의 역량에 경험을 끼어 맞춘다.
<직무 분석 시트>
직무 분석을 하지 않으면
자소서에 역량을 쓸 수 없다.
직무를 정하지 못했으면 강점 찾기부터!
직무는 기업과 상관없이 산업별 비슷
1. 고객/KPI
메인, 서브, 협력업체(회사 외부의 관계하고 있는 사람들)
-> 해당 직무에서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이 고객(메인/서브/협력은 중요하지 않고, 누락되지 않도록 노력)
-> 직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어려운 것 / 하지만 앞으로 꼭 채워나가야 하는 것
2. 과업
고객별 제공되는 서비스
3. 주된 해결 과제
과업에서 어떤 문제가 일어나냐,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나열
어떤 일을 할 때, 조금은 어려운 일을 준다.
-> 현직자 카페 들어가서 회원가입
-> 단톡방 눈팅(주된 게시글, 대화들로 유추)
-> 유튜브, 브런치, 오직
4. 해결방법
어떠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냐
<챌린져스 인증 방법 change>
수업 중이 아닌 쉬는 시간 인증으로
Q. 여러분의 경험은 몇 개인가요?
경험 분해는 정말 중요,
인턴 = 1개 아르바이트 = 1개 가 아니다..!
-> 오호,,,,,,,,, 생각 못함 신세계,,,,,ㅎㅎㅎㅎ
1. Situation/Result
나의 상황을 쓰자, 경험 레퍼토리
2. problem
그 해당 경험을 하면서 겪었던 어려움
-> 문제점을 쭈욱 써봐라
-> 사소한 점까지 쭈욱 적기
나는 생각보다 대부분의 경험이 아주 스무스했다고 항상 생각해
어려움을 찾기가 정말 어렵게 느껴는 것 같다.
그래도 모든 일에는 당연히 어려움이 있었을 테니 기억을 잘 더듬어 분석해봐야지,,
3. What I did
그래서 나는 어떻게 해결했는지
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했어요~
-> 북어! 우리는 북어를 찾는다~ 북어는 핵심
4. Competence
내가 한 행동에서 어떤 역량을 보였는가
-> 아~ 이러한 행동은 리더십이구나,
-> 역량 사전을 가지고 파악
★왕왕 중요★
하나의 경험을 가지고 여러 가지의 경험으로 만들 수 있다!(역량 베이스)
역량을 먼저 뽑아, 역량에 맞는 경험을 1-> 2-> 3-> 4 순으로 작성
내 경험을 내 마음대로 골라쓸 수 있다.
직무에 맞춰서 / 직무에서 요구하는 것
하지만 우리는 이런 경험이 있어요~ 우리 이런 거 했어요~
직무에 맞는 역량들과 그에 맞는 액션을 써야 한다.
우리의 경험은 하나도 안 궁금하다
어떤 행동을 했는지가 궁금하다
밝은 성격으로 대변할 수 있는 행동이 중요
ex. 솔톤으로 이야기,,
소통능력을 대변할 수 있는 행동이 중요
ex. 항상 말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으로 표현합니다.
쉬운 언어로 바꿔서 표현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 자소서 작성 단계 >
이제부터 자소서 작성방법은
1. 입사 지원서 문항 확인 = 직무 확인
2. 경험 분해 이후 문항별 역량 배치
이 두 가지!
1일 차 강의는 여기까지!
무기력했던 1월, 무기력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고 있었다.
쓴소리도 들으며 첫 단추를 꿰는 방법도 배우며
오늘부터 스스로 조금씩 변화해야겠다고 느꼈던 강의
3월의 내가 너무 기대가 된다!
파이팅!
'취업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소서 지원동기] 인싸담당자 온라인 GX 4일차 취업 자소서 강의 필기 -1 (0) | 2021.01.27 |
---|---|
[자소서 준비] 인싸담당자 GX 3일차 테디쌤 특강 <자소서에 쉽게 접근해 100가지 쉽게 작성하는 방법> (0) | 2021.01.26 |
[취준생 필수] 취준 유튜브 <인싸담당자 1월 온라인 GX 2일차> 강의 필기 (0) | 2021.01.22 |
[취업준비] 국제물류 직종별 회사 모음(해운회사, 항공사, 포워더, 국제특송업, 항만/운송/창고) (0) | 2020.12.29 |
[이력서 양식 다운] 내가 직접 모아 만든 이력서 폼 공유 (예시있음/한글파일) (130) | 2020.07.17 |
댓글